학교폭력 예방은 교육이 기본 > 학교폭력예방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학교폭력예방뉴스

교내폭력 | 학교폭력 예방은 교육이 기본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8-12-14 11:18 조회4,969회 댓글0건

본문

a3695e6b8e751e9577a59f04e6d711d4_1544753903_4414.png

 

학교폭력 예방은 교육이 기본
 학교폭력이란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상해, 폭행, 감금, 협박, 약취·유인, 명예훼손·모욕, 공갈, 강요·강제적인 심부름 및 성폭력, 따돌림, 사이버 따돌림,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음란·폭력 정보 등에 의하여 신체·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를 말한다.
 학교폭력은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선 학교뿐만 아니라, 학부모님들도 특별히 관심을 더 가져야 한다.
 설레임 가득한 새 학기를 맞이하여 학교폭력으로부터 우리자녀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즐거운 학교생활을 위하여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학부모의 유의사항과 대처방안, 사안 발생 시 갈등 해결방안들을 제시해 보고자한다.
 먼저 학교폭력을 당하면 다음과 같은 징후들이 나타난다. 그러니 평소 우리 아이들의 상태를 면밀하게 잘 관찰하여 예방과 갈등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학교폭력 피해 징후
1. 늦잠을 자고, 몸이 아프다하며 학교가기를 꺼린다.
2. 성적이 갑자기 혹은 서서히 떨어진다.
3. 안색이 안 좋고 평소보다 기운이 없다.
4. 학교생활 및 친구관계에 대한 대화를 시도할 때 예민한 반응을 보인다.
5. 폭력과 장난을 구별하지 못하여 갈등상황이 발생한다. 
6. 멍하게 있거나, 무엇인가에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7. 밖에 나가는 것을 꺼려하고, 집에만 있으려고 한다.
8. 쉽게 잠에 들지 못하거나 화장실에 자주 간다.
9. 학교나 학원을 옮기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를 꺼낸다.
10. 용돈을 평소보다 많이 달라고 하거나 스마트폰 요금이 많이 부과된다.
11. 스마트폰을 보는 자녀의 표정이 불편해 보인다.
12. 따돌림 당한 친구 사례를 얘기하며, 그런 경우 부모로서의 느낌을 묻는 질문을 한다.

 위와 같은 징후가 나타나면 자녀 및 담임선생님과 즉시 상담하여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 또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하여 가정에서도 다음과 같이 자녀들을 세밀하게 잘 지도하여야 할 것이다.

가정 내 학교폭력 예방 지도 방안 
1. 자녀들에게 친구를 놀리고 고의적으로 소외시키거나, 괴롭히는 행동은 학교폭력이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2. 학교에서 일어난 일이나 친구관계에 대해서 자녀와 매일 대화의 시간을 갖도록 한다.
3. 자녀에게 “무슨 일이 있으면 꼭 엄마, 아빠한테 얘기해. 우리는 항상 네 편이란다”라고 얘기한다.
4. SNS의 위험성, 악용의 결과,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 지켜야할 예절 등을 교육한다.
5. 비싼 물건이나, 전자제품(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학교에 가지고 가지 않도록 한다.
6. 학교폭력을 목격하거나 사실을 알았을 땐 선생님이나 부모님에게 꼭 이야기하도록 당부한다.
7. 피해를 당할 경우 “그만해”라고 말하며 단호하게 거부할 수 있도록 자녀에게 자기주장을 미리 연습시킨다
8. 주변의 학교폭력 관련 기관의 정보를 미리 알려준다※ 학교폭력 신고·상담 : 학교폭력신고센터(11○), 학교폭력SOS지원단(1588-○○○○), 도란도란(http://dorandoran.go.kr)
9.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학교폭력예방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석한다.
10. 자녀의 담임선생님과 주기적 상담을 통해 자녀의 학교생활에 관심을 갖는다.
11. 학교폭력은 가해자의 잘못이며, 피해자의 잘못이 아님을 인식시켜준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도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폭력이 발생했을 경우 대처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학교폭력 발생 시 대처방안 
1. 자녀와 대화를 통하여 충분한 공감과 지지를 해준다.
“그런 일은 크면서 겪을 수 있어. 별거 아니야∼”라는 식으로 자녀의 상황을 흘려듣지 않고, “혼자 많이 힘들었겠구나. 지금이라도 이야기 해주어서 너무 고마워. 엄마가 어떻게 하면 도움이 될까? 엄마가 도와줄게.” 등의 대화를 통해 힘을 실어준다.

2. 피해 및 가해 상황을 구체적으로 정리하여 학교에 도움을 요청한다.
집단폭행 및 따돌림 등 지속적이고 심각한 학교폭력 피해 위험에 노출되어 있을 때에는 자녀가 겪은 상황에 대해 감정적으로 흥분하지 않고 구체적인 내용과 상황을 학교에 알리고 도움을 요청하여 진행한다. 

3.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는다.
- 117센터 (학교폭력 신고·상담센터)
- (재)푸른나무 청예단 전국 학교폭력 상담전화 1588-0000
- Wee센터(학교, 교육청, 지역사회가 연계하여 학생들의 학교생활을 지원하는 다중의 통합지원 서비스망)
- 헬프콜 청소년상담 1388 (학업중단, 가출, 인터넷중독 등 위기상황에 대해 상담을 실시하고 연계 지원 서비스)

 교육부는 교육청과 협약을 맺고 학교폭력 화해․분쟁 지원 기관 「학교폭력 화해·분쟁·갈등조정센터(학교폭력SOS지원단)」를 운영하고 있으며, 학교폭력으로 인한 갈등 발생 시 객관적, 중립적, 전문적 접근을 통해 학생 및 학부모, 학교의 갈등상황에 대한 이해 및 해결에 다각적 지원을 도와주고 있다.

 학교생활 속에서 아이들은 크고 작은 다양한 갈등을 겪게 된다. 특히 또래끼리 갈등이 발생했을 때 적절한 대처방안이나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갈등은 심화되며, 학교폭력으로 확대되기도 한다. 학교폭력이 발생했을 경우 많은 어려움과 상처를 겪게 됨에 따라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다. 학교, 가정, 지역사회 등 모두가 학교폭력예방을 위하여 관심을 기울이고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학교폭력이 없는 즐겁고 행복한 학교생활 속에서 자란 학생들이 우리 사회의 밝고 건강한 기둥이 될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